반응형

복지 4

워라밸 시대, 웅진씽크빅의 '3무데이'와 파격적인 복지 혜택: 일하고 싶은 회사의 새로운 기준

워라밸을 최우선으로: '일하고 싶은 기업'의 새로운 기준연봉보다 근무 시간, 인지도보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MZ세대가 늘어나면서, ‘일하고 싶은 기업’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회사를 선택하는 최우선 기준으로 ‘복지’를 꼽는 MZ세대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에도 복지 좋은 곳이 많아지고 있으며, 웅진씽크빅 역시 그중 하나입니다. 수요일엔 야근, 회의, 회식 'NO'! 웅진씽크빅의 '3무데이'직장인들이 가장 지쳐하는 수요일, 웅진씽크빅은 직원들의 삶의 질과 업무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3무(無)데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3무데이는 매주 수요일에 ‘야근’, ‘회의’, ‘회식’ 등 세 가지를 없애고, 오후 4시 30분에 일괄 퇴..

이슈 2025.07.26

소비쿠폰, 득보다 실? '마트 굴욕' 부른 차별적 지급 방식, 무엇이 문제일까?

민생회복 소비쿠폰, 엇갈린 시선전국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본격화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21일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지급 방식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차등 지급, 개인정보 노출의 시작?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일반 시민 15만원 △차상위계층·한부모 가정 30만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40만원 등으로 차등 지급됩니다. 비수도권 주민에게는 3만원,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주민에게는 5만원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차등 지급 방식이 개인정보 노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금액 표기, 색상 구분… 수혜자들의 불편 호소일부 지자체에서 선불카드에 지급 금액을 표기하거나, ..

이슈 2025.07.26

집 한 채가 전부인 당신의 노후, 국민연금이 지켜드립니다: 고령자 공공신탁 도입 논의

고령 사회의 그림자: 재산 관리의 어려움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면서, 많은 노인들이 재산 관리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집 한 채가 전 재산인 고령층 중에는 당장 쓸 현금이 없어 생활고를 겪거나, 치매 등으로 자산 관리 능력이 떨어져 금융사기나 가족에 의한 재산 갈취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현실은 노년층의 존엄한 삶을 위협하며, 사회적 안전망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만듭니다. 해결책 제시: 국민연금의 '고령자 공공신탁'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민연금공단이 '고령자 공공신탁' 제도를 도입하자는 정책 제안이 나왔습니다. 이는 노인의 재산을 공단이 대신 관리하고, 평생 용돈과 병원비 등을 지급하는 '금융과 복지를 결합한 종합생애설계 서비스'입니다. 공단 측에서 재산을 관리해주는 ..

이슈 2025.07.10

월세와 에쿠스, 그리고 5400만원 부당 수령…70대 여성의 이야기

70대 여성, 기초생활비 부당 수령으로 집행유예광주지방법원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A(여·74) 씨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법원은 보호관찰과 160시간의 사회봉사 명령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히 법적인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의 복지 시스템과 개인의 윤리 의식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계기가 됩니다. 2년 동안 5400만원 부당 수령…숨겨진 진실A 씨는 2021년 1월 11일부터 2023년 11월 20일까지 약 2년 동안 광주 서구로부터 수백 차례에 걸쳐 5400여만 원의 각종 기초생활비를 부당 수령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A 씨는 24차례에 걸쳐 생계급여 670만 원을 지급 받았으며, 42차례에 걸쳐 주거급여 360만 원을 부당 수령했습니다..

이슈 2025.06.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