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해변에서 발견되는 한국인, 래시가드로 구별
해외 휴양지에서 래시가드는 이제 '한국인 구별법'이 됐다. 레딧(Reddit), 쿼라(Quora) 등 해외 SNS에는 "왜 한국 사람들은 옷을 입고 수영하느냐"는 질문이 꾸준히 올라온다. 서구권에서 래시가드는 주로 서퍼 등 해양스포츠 애호가들의 옷으로 여겨진다.
래시가드의 인기, 국내에서도 여전하다
국내에서도 래시가드 인기는 여전하다. 6월 27일부터 7월 10일까지 2주간, 쇼핑 플랫폼 '지그재그'에서 래시가드 검색량은 전년 대비 40%, 매출은 3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여성 비키니 매출은 5% 증가에 그쳤다. 네이버 '비치웨어' 검색 순위 역시 래시가드가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차지했다.
래시가드, 한국인의 피부 미백 선호와 완벽한 조화
한국인의 래시가드 사랑에는 자외선 차단 등 기능성이 큰 몫을 한다. 태닝을 즐기는 서구와 달리, 흰 피부를 선호하는 한국인 특성에 잘 맞고, 티셔츠처럼 실내외에서 입을 수 있는 점도 강점이다.
심리적 편안함과 능동적인 스타일 추구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는 연합뉴스에 "노출이 있는 수영복을 입었을 때 남들의 시선을 받으면 심리적으로 편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과거엔 비키니를 입기 위해 몸을 아름답게 가꾸는 데 집중하지 않았느냐"며 "(래시가드의 대중화는) 자유로움과 편함을 추구하는 능동적인 생각·습관이 자리 잡은 결과"라고 말했다.
래시가드, 유행을 넘어 기본 아이템으로?
2010년대 중반 시작된 래시가드 인기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 수영복 트렌드는 대략 10년 주기로 변한다. 업계에서는 래시가드가 유행을 넘어 '기본템'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과, 새로운 스타일이 부상할 것이란 전망이 엇갈린다.
래시가드의 인기 요약
해외 해변에서 래시가드는 한국인을 구별하는 특징이 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래시가드는 여전히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이는 자외선 차단 기능과 흰 피부를 선호하는 한국인의 특성, 그리고 심리적인 편안함을 추구하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래시가드가 유행을 넘어 기본 아이템으로 자리 잡을지, 새로운 스타일이 등장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래시가드에 대한 궁금증, 속 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Q.왜 한국인들은 래시가드를 선호하나요?
A.자외선 차단, 흰 피부 선호, 그리고 노출에 대한 심리적 편안함 추구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Q.래시가드는 언제부터 유행했나요?
A.2010년대 중반부터 래시가드 인기가 시작되었습니다.
Q.래시가드의 유행은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A.수영복 트렌드는 대략 10년 주기로 변하기 때문에, 래시가드의 미래는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 경보! '이건 꼭 사야 해'… 에어컨 판매량 급증, 역대급 무더위 속 생존 전략 (0) | 2025.07.14 |
---|---|
김밥 한 줄의 비극: 130여 명의 식중독, 여름철 김밥 안전 불감증을 경고하다 (0) | 2025.07.13 |
윤석열 전 대통령, 구치소 생활의 진실: 법무부의 답변과 팩트 체크 (0) | 2025.07.13 |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 광폭 행보: EU, 프랑스, 영국, 인도 특사 파견으로 국제사회와 소통 강화 (0) | 2025.07.13 |
대출 규제 칼날, 엇갈린 시선: '바늘구멍' 된 대출, 하반기 전망은? (0)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