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 잇따른 추락사고 막기 위해 안전망 설치 결정

joeunday 2025. 7. 23. 22:20
반응형

안타까운 사고, 반복되는 비극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에서 올해에만 4명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며, 결국 안전망 설치가 결정되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의 산책로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구름다리에서 2017년 이후 8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매우 안타깝습니다.  이달 8일에도 40대 남성이 난간을 넘어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으며, 지난달에도 한 남성이 추락하여 중상을 입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비극적인 사건들은 안전 시설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늦었지만 다행, 안전망 설치 계획

광주 남구는 24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구름다리를 전면 통제하고 낙하 방지 시설을 설치할 계획입니다이번 공사를 통해 상하단 이중 안전망이 설치될 예정입니다상단에는 길이 47m, 폭 20m의 대형 그물망이, 하단에는 길이 28m, 폭 10m의 안전망이 설치되며, 약 1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안전망 설치를 위한 잡목 제거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늦었지만, 이러한 조치를 통해 더 이상의 안타까운 사고를 막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과거의 노력, 그리고 아쉬움

2020년에는 난간 높이를 1.2m에서 2m로 높이고 롤러 형태의 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안전 조치를 취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습니다. 사고 발생 이전인 지난해 9월, 광주 남구는 구름다리 안전시설 설치에 활용할 수 있는 특별교부세 2억 원을 광주시로부터 교부받았습니다. 하지만, 당시 남구는 환경부의 '도심지 생태 축 복원 사업' 공모에 응모 중이었고, 공모에 선정되면 국비 수십억 원을 들여 구름다리 아래 터널형 복개 구조물을 설치할 계획이었습니다.  복개가 이뤄지면 별도의 낙하 방지 시설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여 교부 예산 사용을 미루었던 점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예산 집행 지연의 배경

남구는 당초 생태 축 복원 사업과 연계하여 예산을 사용하려 했지만, 공모 선정이 어려워지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결국 올해 1월이 되어서야 낙하 방지용 안전망 설치 용역을 발주했고, 그 사이에도 안타까운 사고가 이어졌습니다. 남구 관계자는 "국비 공모를 포함한 중장기 안전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히며, 앞으로의 안전 대책 마련에 대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구름다리의 안전, 그리고 우리의 책임

제석산 구름다리는 지역 주민들에게 소중한 산책로이자 휴식 공간입니다. 이러한 공간에서 안전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며,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번 안전망 설치를 통해 더 이상 불행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모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름다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핵심 내용 요약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에서 잇따른 추락 사고로 인해 안전망 설치가 결정되었습니다. 2017년 이후 8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으며, 올해에도 4명의 추락 사고가 있었습니다. 남구는 안전망 설치를 위해 예산을 확보했지만, 집행이 지연되어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이번 안전망 설치를 통해 더 이상의 사고를 막고, 안전한 구름다리를 만들기를 기대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구름다리 안전망 설치 공사는 언제 완료되나요?

A.24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구름다리가 전면 통제될 예정이므로, 해당 기간 안에 안전망 설치가 완료될 것으로 보입니다.

 

Q.과거에도 안전 조치가 있었나요?

A.2020년에 난간 높이를 높이고 롤러 형태의 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안전 조치를 취했지만, 효과는 제한적이었습니다.

 

Q.앞으로의 안전 대책은 무엇인가요?

A.남구는 국비 공모를 포함한 중장기 안전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