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박정희 2

대구, 박정희 기념사업 '폐지' 요구에 침묵? 시민의 분노와 시의회의 속내는?

시민의 외침, 그러나 대구시의회는…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일방적인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사업' 추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대구 시민들의 조례 폐지 요구에 대구시의회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민 4,700여 명이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 폐지안'을 청구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시의회는 관련 안건을 6월 정례회에서 상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시민들의 정당한 요구를 외면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으며, 시의회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구시의회는 예·결산안 및 조례안 심의에 집중하고 있지만, 시민들이 간절히 원하는 조례 폐지안은 뒷전으로 밀려난 상황입니다. 조례 폐지안, 왜 상정되지 않았나?대구시의회는 '의안 일정이 이미 짜여져 ..

이슈 2025.06.17

초등학교 수업 논란: '경제 발전' 명분, 비상계엄 정당화 시도? 교육계 '술렁'

논란의 시작: 초등학교 수업 자료, 계엄 옹호 논란최근 서울의 한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 사용된 학습 자료가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해당 자료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를 '경제 발전 과업 수행에 강력한 통치력 필요'라는 제목으로 다루며, 계엄 선포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이 자료는 학습 자료 사이트에서도 공유되어 더욱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계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하며, 교육 현장에서의 적절한 역사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학습 자료의 문제점: 왜곡된 역사관과 부적절한 내용문제의 학습 자료는 1972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를 다루면서, '중화학공업 육성'을 명분으로 내세웠습니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이 계..

이슈 2025.06.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