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의 시작: JTBC 단독 보도와 대통령실 전화번호
1년 2개월 전 JTBC의 단독 보도를 통해 처음 알려진 대통령실 전화번호 '02-800-7070'.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채 상병 사건 수사 보류 직전 이 번호로 전화를 받은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JTBC 뉴스룸은 일관되게 이 번호의 발신자가 윤석열 당시 대통령인지 밝혀야 채 상병 사건의 진실이 드러난다고 지적해 왔습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북한이 보고 있다', '기밀사항이다' 등의 핑계로 진실을 감추려 했습니다.
침묵을 깨고 입을 연 이종섭 전 장관
특검 수사가 시작되자 이종섭 전 장관이 입을 열었습니다. 그는 '02-800-7070'으로 전화를 건 사람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종섭 전 장관은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 사건 이첩보류 지시를 내리기 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장관은 순직해병 특검에 제출한 의견서를 통해 '대통령께서 7월 31일 피의자에게 전화하여 피의자에게 군 조직을 걱정하는 우려를 표명한 기억이 남아 있다'고 밝혔습니다.
통화 내용과 사건 전개
이 전 장관은 해병대 수사 결과 보고를 받고 마음이 무겁던 차에 대통령도 전화로 우려의 말씀을 했다고 전했습니다. 02-800-7070으로 걸려온 대통령실 명의의 전화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건 게 맞다고 인정한 것입니다. 해당 통화 내용은 1년 2개월 전 JTBC 보도로 처음 알려졌지만, 그동안 이 전 장관은 발신자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특검이 출범하고 이 전 장관의 집까지 압수수색한 이후에야 윤 전 대통령이 맞다고 인정한 것입니다.
논란의 핵심: 'VIP 격노'와 사건 보류 지시
이 전 장관은 통화에서 대통령의 격노나 임성근 전 사단장을 수사 대상에서 빼라는 말은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VIP 격노'와 이후 이어진 사건 이첩 보류 지시는 연관이 없다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통화 직전 대통령실 안보실 회의에서 '임 전 사단장이 과실치사 혐의의 피의자'라는 수사 결과를 듣고 격노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대통령과 통화 직후 이 전 장관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해 이첩 보류 지시 등을 내렸습니다.
특검 수사의 향방
이종섭 전 장관은 대통령의 우려는 참고사항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특검은 이 전 장관의 의견서를 접수하고 압수물과 증언 등을 분석한 후, 이 전 장관을 불러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따져 물을 방침입니다. 사건의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핵심 요약: 02-800-7070, 윤석열 그리고 채 상병 사건
이종섭 전 장관이 1년 2개월 만에 '02-800-7070' 전화 발신자가 윤석열 전 대통령임을 인정했습니다. 이는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증거로, 특검 수사를 통해 사건의 진실이 밝혀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이종섭 전 장관이 1년 넘게 침묵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이종섭 전 장관은 특검 수사가 시작되고 자택 압수수색까지 진행된 후에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통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그동안 대통령실의 입장을 고려하거나, 사건의 파장을 우려해 진실을 밝히는 것을 주저했을 수 있습니다.
Q.특검 수사에서 밝혀져야 할 핵심 쟁점은 무엇인가요?
A.특검은 윤석열 대통령의 통화 내용과 사건 이첩 보류 지시 간의 연관성을 밝혀야 합니다. 또한, 'VIP 격노'가 실제 있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수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규명해야 할 부분입니다.
Q.앞으로 특검 수사는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A.특검은 이종섭 전 장관을 소환하여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조사하고, 확보한 증거들을 분석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채 상병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고, 관련자들의 책임을 묻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년 만에 밝혀진 '800-7070'의 진실: 이종섭 전 장관,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 공개 (0) | 2025.07.22 |
---|---|
중국발 폭염 속, 마트의 변질: '도심 속 피서지'로 변모한 현실과 그 이면 (0) | 2025.07.21 |
국민대, 김건희 박사 학위 '무효' 최종 결정… 파문은 어디까지? (0) | 2025.07.21 |
금강에서 발견된 시신, 휩쓸린 40대 남성일까?…수색의 험난한 여정 (0) | 2025.07.21 |
임영웅, 폭우 피해 이웃 위한 따뜻한 손길: 2억 원 기부로 희망을 나누다 (0)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