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마트·편의점 '울상'… 온라인 쇼핑에 밀려 5년 만에 역성장, 반등 기회는?

joeunday 2025. 7. 31. 14:24
반응형

오프라인 유통, 5년 만의 역성장

올해 상반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매출이 2020년 이후 5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온라인 쇼핑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경기 불황과 기후 변화까지 겹치면서 오프라인 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업계는 하반기 소비쿠폰 지급을 통해 소비 심리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의 압도적인 성장세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부진과 대조적으로 온라인 쇼핑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습니다. 2021년 16.1%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온라인 매출은 2023년 7.2%로 소폭 하락했지만, 올해 다시 15.8%로 급증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업태별 매출 현황: 대형마트, 편의점 부진

업태별로 살펴보면, 대형마트의 매출은 1.1% 감소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편의점 역시 0.5% 감소하며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백화점은 0.5% 소폭 증가했지만, 2021년 3~5%대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던 과거와 비교하면 매우 저조한 성적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라인 유통 채널 전반에 걸쳐 위기감을 더하고 있습니다.

 

 

 

 

부진의 원인: 경기 불황, 고물가, 기후 변화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부진은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경기 불황과 고물가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와 같은 기후 변화 또한 백화점의 봄 시즌 패션 부문 실적 저조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신세계백화점은 1월을 제외하고 상반기 5개월 동안 전년 동월 대비 역성장을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백화점, 명품으로 버티다

백화점은 명품 등 해외 유명 브랜드의 매출이 뒷받침하며 그나마 선방했습니다오프라인에서 가전, 패션, 잡화 등의 상품군 매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해외 유명 브랜드 매출은 5% 증가했습니다. 이는 고마진 상품인 명품의 수요는 여전하지만, 전체적인 소비 심리가 위축되었음을 시사합니다.

 

 

 

 

하반기 반등의 기회: 소비쿠폰과 할인 행사

오프라인 업체들은 하반기 소비쿠폰 지급을 통해 소비 심리가 회복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편의점 업계는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여 4월부터 3개월 연속 역성장을 만회할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반면, 대형마트는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되어 매출 감소를 우려하며 대규모 할인 행사를 통해 고객 유치에 나섰습니다.

 

 

 

 

대형마트의 고군분투: 규제 강화 우려

대형마트는 2020~2021년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사용처로 지정되지 못해 매출 감소를 겪은 바 있습니다. 최근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대규모 할인 행사를 통해 고객을 잡으려 노력하고 있지만, 정부의 대형마트 규제 강화 가능성까지 겹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도 매출 부진이 이어진다면 마진율 조정 등 추가적인 조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온라인 쇼핑 강세 속, 오프라인 유통의 생존 전략 모색

온라인 쇼핑의 급성장과 소비 침체 속에서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5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하반기 소비쿠폰, 할인 행사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반등을 노리고 있지만, 규제 강화와 같은 외부 요인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 부진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경기 불황, 고물가, 기후 변화, 온라인 쇼핑의 성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Q.하반기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반등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A.소비쿠폰 지급, 대규모 할인 행사 등 긍정적인 요인도 있지만, 규제 강화와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대형마트가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되어 매출 감소를 우려하며, 정부의 규제 강화 가능성까지 겹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