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BK2

홈플러스 폐점, '긴급 생존' 뒤에 가려진 그림자: 직원과 상인들의 절규 예고 없는 폐점 통보, 직원들의 불안한 미래지난달 13일 오후 2시 반쯤.경기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홈플러스 원천점에서 직원 대상 긴급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지역 본부장이 업무 시간에 갑자기 일선 직원들을 소집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설명회에선 지난 3월 기업 회생 돌입 이후 회사의 경영 환경이 매우 좋지 않다, 다달이 매출이 꺾이고 있다는, 새로울 것 없는 이야기가 15분 가까이 이어졌습니다. 이윽고 새로운 소식이 전달됐습니다. "우리 점포 영업 종료일은 11월 16일로 결정됐습니다." 15개 점포 폐쇄, '생존'을 위한 선택?비슷한 시각, 홈플러스는 '긴급 생존 경영' 체제에 돌입한다는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생존' 대책의 핵심, 수원 원천점을 포함한 15개 점포의 폐점이었습니다. 건물 임대주와.. 2025. 9. 6.
사모펀드 후폭풍: MBK 홈플러스 사태, 고려아연 M&A… 금융연구원의 경고 사모펀드의 그림자: MBK, 홈플러스, 그리고 고려아연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기업회생신청 사태와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는 사모펀드(PEF)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금융연구원은 차입매수(LBO)와 자산 매각 등 사모펀드의 약탈적 경영을 방지하기 위한 상법 개정 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국내 기업 장악이 용이한 외국계 사모펀드 운용사를 견제하기 위한 법과 제도적 장치 마련의 시급성을 역설했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보고서: PEF 규제, 시장 신뢰 회복의 열쇠한국금융연구원 임형준 선임연구위원은 ‘시장 및 규제 환경을 감안한 PEF 규제 접근 방식’ 보고서를 통해 PEF 규율체계 보완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PEF 규제가 시장 평판과 신뢰를 제.. 2025.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