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비자 기만2 아시아나항공, 약속 어기고 121억 '철퇴'…소비자 기만 행위의 대가 합병 조건 위반, 그 무게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과의 합병 과정에서 공정거래위원회가 부과한 시정조치를 어겨 121억 원의 이행강제금을 물게 되었습니다. 이는 기업결합 이행강제금 제도가 도입된 이후 역대 최대 규모로, 아시아나항공의 위반 행위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이었는지를 보여줍니다. 공정위는 법인 고발이라는 강경한 조치까지 취하며, 기업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경고를 보냈습니다. 무슨 약속을 어겼나?문제는 아시아나항공이 ‘운임 인상 제한’ 조항을 어겼다는 것입니다. 공정위는 대한항공과의 합병을 승인하면서, 경쟁 제한을 막기 위해 26개 국제노선과 8개 국내노선의 슬롯 및 운수권을 대체 항공사에 개방하고, 좌석 평균 운임 인상을 제한하는 등의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평균.. 2025. 8. 3. 하얀 가운의 그림자: SNS 허위 광고, 당신의 건강을 위협하다 전문가의 신뢰를 악용한 SNS 광고의 실태SNS에서 약사나 의사처럼 보이는 사람들이 하얀 가운을 입고 영양제나 건강기능식품을 소개하는 광고가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들은 의학적 효과를 강조하며 소비자를 현혹하지만, 실상은 약사나 의사가 아닌 배우들이 연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건현장360 백승우 기자는 이러한 허위 광고의 실태를 추적했습니다. 가짜 전문가들의 등장과 교묘한 수법기사에 따르면, 한 남성은 약사 가운을 입고 비타민C 제품을 설명하는가 하면, 다른 영상에서는 의사 수술복을 입고, 심지어 피부 미용 전문가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는 제품 판매 업자들이 전문가의 신뢰도를 이용하여 매출을 올리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이들은 온라인 구인 사이트를 통해 약사나 의사 역할을 할 배우를 섭외하고 .. 2025. 6.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