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캄보디아 지옥: 탈출, 그 후에도 끝나지 않는 공포… 한국인 피해자들의 절규

by joeunday 2025. 10. 20.
반응형

캄보디아 범죄 단지의 실체: KBS 심층 보도

캄보디아 범죄 단지에 대한 폭로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KBS는 그 실체를 파악하고자 캄보디아 현지에 기자들을 급파했습니다. 캄보디아에 감금된 우리 국민들은 어떤 피해를 봤는지, 캄보디아 범죄 단지 현장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기자들이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납치와 감금, 그리고 절망: A 씨의 고통스러운 증언

지난 12일, KBS에 제보 한 건이 접수됐습니다. 그는 자신이 현재 캄보디아 범죄 단지에 납치 감금돼 있는데, 곧 탈출할 수 있을 것 같다며 KBS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약 1시간 거리에 납치돼 있던 A 씨. 캄보디아 현지에 급파된 KBS 기자가 A 씨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고문과 폭행, 살아남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

A 씨는 지난 8월 캄보디아에 입국했습니다. 여행차, 그리고 친구를 만나기 위해서였습니다. '휴대전화만 갖다주면 된다'는 친구 요청에 A 씨는 큰 의심 없이 캄보디아로 향했습니다. 하지만 현지에서 친구와 인사한 것은 잠시뿐. 친구 손에 이끌려 프놈펜 시내의 한 아파트 단지에 들어갔는데, A 씨는 그 직후 아파트에 감금됐습니다.

 

 

 

 

멈추지 않는 고통: 4곳의 범죄 단지를 전전하며

A 씨는 두 달간 범죄 단지 4곳으로 팔려 갔습니다. 어떤 곳에선 폭행과 고문만 이루어졌고, 또 어떤 곳에선 보이스피싱을 위한 강제 교육이 진행됐습니다. A 씨는 "범죄 단지에서 일정 수익을 내지 못하면 팔려 가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감금 피해자가 범죄에 가담하지 않으려고 거부할수록 더 열악한 곳으로 팔려 가게 되는 구조라는 겁니다.

 

 

 

 

탈출 후에도 드리운 그림자: 끝나지 않는 공포

A 씨는 탈출한 뒤에 더 막막했다고 심정을 털어놓았습니다. 감금 피해자들 대다수가 여권도 휴대전화도 없이 탈출하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구조를 요청하기도, 대사관을 찾아가기도 어렵습니다. A 씨 역시 여권도 돈도 없이 겨우 몸만 빠져나올 수 있었고, 수중에는 인터넷이 되지 않는 휴대전화 한 대뿐이었습니다.

 

 

 

 

절망 속의 외침: 정부의 지원 절실

현재 캄보디아 스캠(사기) 단지에 구금돼 있는 한국인 피해자가 몇 명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몇백 명이라는 말도, 몇천 명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A 씨가 그랬던 것처럼, 지금 그곳에 갇혀있는 또 다른 피해자는 탈출할 용기를 가졌다가 금세 포기했을지 모릅니다. 가해자들에게 다시 잡혀갈 수도 있다는 불안감, 탈출에 실패했을 때 마주할 고문과 폭행에 대한 걱정 때문에 말이죠. 그렇다면 피해자들에게 당장 필요한 건 무엇일까요? 탈출 후 귀국 전까지 피해자들을 보호해 줄 임시 숙소와 안심할 수 있는 동행자 등 정부의 발 빠른 지원이 아닐까요?

 

 

 

 

캄보디아 범죄 단지, 탈출 그 이후: 한국인 피해자들의 고통스러운 현실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 감금 사건의 실태를 KBS 심층 보도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고문과 폭행, 끊임없는 공포 속에서 탈출한 피해자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간절히 원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캄보디아 범죄 단지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무엇인가요?

A.납치, 감금, 폭행, 고문, 보이스피싱 강요 등 끔찍한 범죄 행위가 자행되고 있습니다.

 

Q.피해자들이 탈출 후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여권 및 소지품 부재, 가해자들의 협박, 정부 지원 부족 등으로 인해 극심한 불안감과 어려움을 겪습니다.

 

Q.피해자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은 무엇이 필요할까요?

A.임시 숙소 제공, 안전한 귀국을 위한 동행, 심리적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