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만수르,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 결별? 53년 명문 구단의 위기, 강등의 그림자 드리우다

by joeunday 2025. 9. 25.
반응형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위기의 시작

일본 J리그 최고 명문, 요코하마 F. 마리노스가 초유의 강등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53년 역사를 자랑하는 이 팀은 모기업의 경영난과 성적 부진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닛산 자동차는 시티풋볼그룹과의 글로벌 파트너십 계약을 종료하며, 구단 운영에 변화를 예고했습니다. 닛산은 2014년부터 시티풋볼그룹과 계약을 체결하고 경기장에 광고 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닛산은 또한 요코하마 국제 경기장의 명명권(닛산 스타디움)을 요코하마시에 기존 후원금에 절반도 안 되는 연간 5000만엔(약 4억 7152만원) 1년 계약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명문 구단의 역사와 현재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1972년 닛산 자동차 축구단으로 시작하여 1993년 J리그 출범과 함께 현재의 이름으로 재창단했습니다. J1리그 우승 5회, 천황배(FA컵) 우승 7회, 아시안 컵위너스컵 2회 우승 등 화려한 역사를 자랑합니다한국 축구 팬들에게도 익숙한 유상철, 안정환, 남태희 선수 등이 이 팀에서 활약했습니다하지만 현재는 17위(7승7무17패, 승점 28)로 강등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지역 라이벌 요코하마FC와 승점이 같아, 언제든 강등될 수 있는 절박한 상황입니다.

 

 

 

 

모기업의 경영난과 파트너십 종료

모기업 닛산의 경영난은 구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닛산은 시티풋볼그룹과의 제휴를 해체하며, 구단 운영에 대한 지원을 줄일 것으로 보입니다. 시티풋볼그룹은 2014년 5월, 닛산이 소유하고 있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투자해 주주가 되었습니다. 현재 닛산이 구단 지분 80%, 시티풋볼그룹이 지분 20%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구단의 재정적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선수단 운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강등 위기와 감독 교체

J1리그는 하위 세 팀이 자동 강등되는 시스템으로, 요코하마는 33년 만에 처음으로 강등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팀은 이미 두 차례나 감독을 교체하는 등 변화를 시도했지만, 반등의 기미는 보이지 않습니다. 개막 전 임명된 스티브 홀랜드 감독은 지난 4월 경질됐고, 후임인 패트릭 키스노보 감독도 팀을 반등시키지 못하면서 지난 6월 19일 지휘봉을 내려놓았습니다. 현재는 수석코치인 오시마 히데오가 요코하마 감독 대행을 맡고 있습니다.

 

 

 

 

남은 경기와 전망

요코하마는 7경기를 남겨두고 있으며, 4위 가시와 레이솔, 8위 우라와 레즈, 6위 산프레체 히로시마, 3위 교토 상가, 그리고 1위 가시마 앤틸러스와의 경기를 앞두고 있습니다최근 5경기에서 1승 1무 3패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며, 강등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습니다. 남은 경기에서 반전을 만들지 못한다면, 구단은 창단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이할 것입니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53년 역사상 최대 위기

모기업의 경영난, 파트너십 종료, 그리고 성적 부진까지 겹치며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습니다. 33년간 단 한 번도 강등되지 않았던 명문 구단이 과연 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을지, 팬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강등 가능성은?

A.현재 순위와 남은 경기들을 고려할 때, 강등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남은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면 2부 리그로 강등될 수 있습니다.

 

Q.모기업 닛산의 경영난이 구단에 미치는 영향은?

A.닛산의 경영난은 구단의 재정적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선수단 운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팀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Q.구단과 시티풋볼그룹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A.요코하마 구단의 한 관계자는 '기본적인 형태는 바뀌겠지만, 구단과 시티풋볼그룹의 관계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