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고등어 풍년에도 밥상 물가 '출렁'… 기후변화, 우리 식탁을 위협하다

by joeunday 2025. 8. 30.
반응형

뜨거워진 지구, 밥상 물가를 위협하다

기후위기는 이제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히트플레이션'(Heat 열+Inflation 물가 상승)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폭염과 이상 기후 현상이 우리의 밥상 물가를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습니다. 처서 매직마저 사라진 2024년 여름, 우리는 기후변화가 몰고 온 경제적 파장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특히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은 가계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풍년에도 씨가 마른 고등어, 수온 상승의 그림자

올해 고등어는 풍년이었지만, 소비자들은 씁쓸한 현실과 마주해야 했습니다.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씨알 굵은 고등어가 자취를 감췄다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한 가격 상승을 넘어, 우리가 즐겨 먹던 먹거리의 질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고수온 현상으로 인해 고등어의 먹이 활동이 줄고 서식지가 이동하면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결과로 이어진 것입니다. 수온 상승은 고등어뿐만 아니라 다른 수산물에도 악영향을 미쳐, 양식어종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폭염이 덮친 밥상, 농·축산물 가격 줄줄이 상승

고등어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폭염은 농산물과 축산물 가격을 동반 상승시키며, 밥상 물가를 전반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농산물(8.9%)과 축산물(3.8%)이 골고루 오르며 전체 농림수산물지수를 5.6% 끌어올렸다. 시금치, 배추, 쇠고기, 돼지고기 등 밥상 단골 품목들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폭염과 폭우로 인한 작황 부진, 가축 폐사 등은 이러한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심화되는 기후플레이션, 체계적인 정책 대응 절실

기후변화는 이제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닌, 경제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가 불러오는 기후플레이션(기후+인플레이션)이 일상화되면서, 즉흥적 처방이 아닌 체계적인 정책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유럽중앙은행(EBC)의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로 인해 식량 가격이 상승하고, 이는 전체 물가 상승률을 더욱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미흡한 정부 대응, 예방보다 복구에 치우쳐

하지만,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예산은 증가했지만, 미래 기후변화에 초점을 맞춘 투자 확대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예방보다 사후 복구용 예산 비중이 오히려 더 늘어난 것으로, 체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자세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특히, 농수산업의 체질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 지속 가능한 밥상을 위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예방과 대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농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R&D 투자를 늘려야 합니다. 저온·저장 시설 확충, 정확한 기상 예측 시스템 구축, 그리고 가격 급등 품목에 대한 선제적인 소비 지원책 마련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지속 가능한 밥상을 만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핵심만 콕!

올해 여름, 기후변화는 고등어 풍년에도 불구하고 밥상 물가를 위협했습니다. 고수온, 폭염, 폭우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은 체계적인 정책 대응을 요구합니다. 예방과 R&D 투자를 확대하여 지속 가능한 밥상을 만들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고등어 풍년인데 왜 가격이 올랐나요?

A.고수온 현상으로 인해 씨알 굵은 고등어가 줄어들고, 어획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Q.기후변화가 밥상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폭염, 폭우 등 이상 기후 현상으로 농·축·수산물 생산량이 감소하고, 이는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 경제에 부담을 줍니다.

 

Q.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은 어떤 점이 부족한가요?

A.예방 및 R&D 투자 부족, 사후 복구에 치우친 예산 배정 등으로 체계적인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