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 없는 폐점 통보, 직원들의 불안한 미래
지난달 13일 오후 2시 반쯤.경기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홈플러스 원천점에서 직원 대상 긴급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지역 본부장이 업무 시간에 갑자기 일선 직원들을 소집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설명회에선 지난 3월 기업 회생 돌입 이후 회사의 경영 환경이 매우 좋지 않다, 다달이 매출이 꺾이고 있다는, 새로울 것 없는 이야기가 15분 가까이 이어졌습니다. 이윽고 새로운 소식이 전달됐습니다. "우리 점포 영업 종료일은 11월 16일로 결정됐습니다."
15개 점포 폐쇄, '생존'을 위한 선택?
비슷한 시각, 홈플러스는 '긴급 생존 경영' 체제에 돌입한다는 보도자료를 냈습니다. '생존' 대책의 핵심, 수원 원천점을 포함한 15개 점포의 폐점이었습니다. 건물 임대주와의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를 없애 적자 폭을 줄이겠다는 겁니다. 이달 초 기준 홈플러스가 운영 중인 122개 점포의 12%가 정리되는 셈입니다.
고용 보장 약속, 그러나 현실은…
홈플러스는 점포가 문을 닫더라도 고용은 보장하겠다며, 인근 점포로 발령낼 테니 1~3순위를 적은 희망원을 내라고 했습니다. 3백만 원(세전)의 위로금을 주겠다고도 했습니다. 또 폐점을 계기로 퇴직하는 직원에게는 퇴직금과 별개로, 기본급을 기준으로 계산한 고용안정지원금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근속 연수에 따라 최소 630만 원에서 많게는 2천5백만 원가량의 금액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1시간 넘는 출퇴근, 빠듯한 월급… 직원들의 고충
11월 폐점이 확정된 홈플러스 인천 계산점 직원 A 씨는 기자와 만나 이렇게 말했습니다. 조금 불편해도 다른 점포로 옮겨서 일을 계속하면 되지 않을까? A 씨는 "이 근처에서 제일 가까운 가좌점이나 부천여월점으로 가더라도 거의 1시간 정도 걸려 출근을 해야 한다"면서 "직원 대다수가 차가 없는 주부들인데, 집에서 그쪽까지 한 번에 가는 대중교통이 없어 전체 출퇴근에 길게는 3시간 가까이 잡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상인들의 날벼락, 보상 없는 현실
폐점하는 홈플러스 점포들은 입점 상인들의 일터이기도 합니다. 이들은 대부분 직원보다 늦게 폐점 통지를 받았습니다. 홈플러스가 지난달 14일과 지난 4일에 각각 발송한 공문을 통해서였습니다. 홈플러스는 폐점 예정 점포에 입점한 상인들에게 위와 같은 내용의 공문을 일괄 발송했다. (사진 출처: 시청자 제공) 홈플러스 계산점 입점 상인 B 씨는 "공문 하나 보내고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이렇게 일방적으로 통보를 하니 기가 찬다"면서 "우리끼리는 오죽하면 뉴스 기사 보는 게 더 소식이 빠르다고 한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MBK의 무책임, 정치권의 역할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에 대한 정치권의 견제와 압박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셉니다. 홈플러스일반노동조합은 "MBK가 투자하면 홈플러스 15개 점포는 폐점하지 않아도 되며, 수익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면서 "MBK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은 MBK의 역할없이 현장 노동자의 희생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고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들은 김병주 회장을 반드시 국회 청문회에 세워 책임을 묻겠다며 투쟁을 이어가겠단 계획입니다.
핵심만 콕!
홈플러스의 15개 점포 폐점 결정은 직원들과 상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고용 보장과 보상안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출퇴근, 생계의 어려움, 불투명한 보상 등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MBK의 무책임한 태도와 정치권의 역할 부재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이들의 절실한 외침이 닿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폐점하는 홈플러스 직원들의 고용은 어떻게 되나요?
A.홈플러스는 인근 점포로 발령을 내고, 위로금과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장시간 출퇴근과 빠듯한 생활고로 인해 퇴사를 고려하는 직원들도 많습니다.
Q.입점 상인들은 어떤 보상을 받게 되나요?
A.홈플러스는 상인들과 개별적으로 보상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나, 회생 절차 중인 기업의 상황으로 인해 충분한 보상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Q.MBK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나요?
A.MBK는 홈플러스의 수익 구조 개선을 위한 투자를 외면하고, 현장 노동자들의 희생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선택제 공무원 제도 폐지, 이제는 전일제 전환으로: 차별과 불합리 해소 촉구 (0) | 2025.09.06 |
---|---|
추미애, '관봉권 띠지 폐기' 사건에 분노: 검찰의 조직적 은폐 시도 의혹 제기 (0) | 2025.09.06 |
김성훈 전 차장, 선상 파티 의혹에 입 열다: '대통령 내외, 알지도 못할 때' (0) | 2025.09.06 |
MBC '바이든 날리면' 보도, 법원 결정으로 정당성 입증… 윤석열 정부의 언론 탄압 민낯 드러나 (0) | 2025.09.06 |
990원 소금빵 논란, 유튜브를 뒤흔들다: 슈카의 빵플레이션 도전과 SEO 전략 (0) | 2025.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