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못한 상황: 트럼프의 '미국 잔류' 제안
미국 조지아주에 구금된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업체 직원들의 귀국길이 예정됐던 10일(현지시간)에서 11일로 하루 연기된 ‘미국 측 사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 ‘미국 잔류’ 제안 때문이었다. 갑작스러운 출발 지연으로 구금시설에서 가슴 졸이던 한국 노동자들은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하루를 보냈다.
돌발 제안의 배경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워싱턴DC 주한미국대사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면서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 시키는 방안,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런 내용은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날 오전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의 면담에서 설명받았다.
한국 정부의 결정
하지만 조 장관은 한국 국민이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한국으로 귀국했다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 일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전달했고 미국 측은 이를 수용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인들이 돌아가지 않고 계속 (미국에 남아) 일하게 해주겠다고 한 건 불이익이 없게 해주겠다는 것과 같다고 우리는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귀국 절차 중단의 과정
외교부 현장대책반은 조지아주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공항 이동을 준비하던 전날 오후 10시쯤 구금시설 측으로부터 귀국 절차 중단을 통보받았다. 구금된 한국 직원들이 이미 수용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던 와중이었다. 대한항공 전세기도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한 상태였다.
귀국 절차 중단의 원인
구금시설 측은 ‘위에서 내려 지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애초 양측이 갈등했던 수갑 착용 등 호송 문제가 원인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수갑 착용 갈등과 출발 지연과는 직접 관계가 없었고 ‘체류 제안’을 한 트럼프의 돌발 지시가 귀국 절차를 중단시킨 원인이 된 것이다.
자진 출국, 불이익 없는 재입국
구금된 이들은 추방이 아닌 자진 출국 방식으로 한국에 돌아온다. 미국 당국에 불법 체류를 했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았다. 정부도 이번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들이 비자 목적에 어긋나는 활동을 했다는 점에서도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미국 측도 불법 체류 인정하라는 강제적인 요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요약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미국 잔류' 제안으로 인해 한국 노동자들의 귀국길이 지연되는 롤러코스터 같은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국민들의 피로감을 고려하여 귀국을 결정했고, 미국 측은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자진 출국 방식으로 진행되어 재입국 시 불이익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미국 체류 제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
A.트럼프 대통령은 구금된 한국 국민들이 미국에 남아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하거나,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묻기 위해 귀국 절차를 중단하라고 지시했습니다.
Q.한국 정부가 귀국을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한국 정부는 구금된 한국 국민들의 심리적 피로감을 고려하여 귀국을 결정했습니다.
Q.자진 출국 시 재입국에 불이익이 있나요?
A.자진 출국이므로 재입국에 불이익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측도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만금 국제공항, '조류 충돌 위험'에 발목 잡히다: 법원 판결과 향후 전망 (0) | 2025.09.12 |
---|---|
뚜레쥬르, SKT T멤버십과 손잡고 역대급 할인! '고객 감사제'에 빵덕후들 열광 (0) | 2025.09.11 |
강릉, 단비에도 가뭄 해갈은 '글쎄…' 60mm 비 예보에도 저수율은 미미 (0) | 2025.09.11 |
학교 앞 문구점의 눈물: 다이소·쿠팡에 밀려 60% 폐업, 소상공인 생존 전략은? (1) | 2025.09.11 |
권성동 체포동의안 국회 통과: 찬성표 던진 권성동, 정치적 파장은? (0) | 2025.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