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젠슨 황 효과, 적자 늪 제주맥주 부활 이끌까? 주가 급등, 수익성 개선 기대!

by joeunday 2025. 11. 13.
반응형

수제맥주 상장사 '제주맥주', 젠슨 황 효과에 주목

수제맥주 업계 최초로 국내 증시에 입성한 한울앤제주(제주맥주)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효과에 힘입어 수익성 회복에 나설지 주목된다. 젠슨 황 CEO,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치맥 회동'에서 제주맥주 생맥주가 언급되며, 주가 반등의 기회를 맞이했다.

 

 

 

 

AI 깐부 맥주, 젠슨 황의 선택

제주맥주는 젠슨 황 CEO와 총수들의 회동을 활용해 제품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황 CEO가 브랜드 잔을 들고 있는 사진을 공식 소셜 미디어에 게재하고, ‘인공지능(AI) 깐부가 선택한 맥주’ ‘젠슨 황이 놀란 건 AI가 아닌 ALE(에일)’ ‘그래픽 카드보다 짜릿한 탄산감’ 등 키워드를 활용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치맥 회동, 제주위트에일의 특별한 만남

지난달 30일 서울 강남구 깐부치킨 삼성점에서 열린 치맥 회동에서 이재용 회장이 처음 주문한 생맥주가 제주맥주의 ‘제주위트에일’이었다. 세 사람은 제주위트에일 전용잔을 부딪히며 건배하고, 맥주를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며 제주맥주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실적 부진 속 기대감, 깐부치킨 사례 주목

몇 년째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제주맥주는 깐부치킨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처럼 특수를 누리길 기대하고 있다. 깐부치킨은 황 CEO 방문 이후 관심과 문의가 폭주하면서 신규 가맹 상담을 중단하고, 'AI 깐부'라는 공식 세트 메뉴를 출시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다.

 

 

 

 

상장 이후 겪은 어려움과 현재 상황

제주맥주는 2021년 5월 수제맥주 제조사 중 처음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지만, 상장 후 영업손실이 계속되며 주인이 두 번이나 바뀌는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자동차 수리업체 더블에이치엠에 이어 지난해 반도체 장비사 한울반도체가 지분을 인수했다. 연간 영업손실 규모는 줄어드는 추세이나,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지난해 연간 적자는 약 48억원을 기록했다.

 

 

 

 

주가 급등, 젠슨 황 효과의 영향?

이번 젠슨 황 효과가 향후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나, 주가는 연일 급등하고 있다. 지난달 말 1800원대에 머물렀던 주가는 전날 약 25% 상승한 22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기간 시가총액은 282억원에서 352억원으로 70억원 증가했으며, 거래대금도 크게 늘었다.

 

 

 

 

수익성 회복을 위한 노력

제주맥주는 주력 사업인 수제맥주 생산뿐 아니라 신사업 투자 등을 통해 수익성 회복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뚜렷한 성과는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7월과 올해 초 냉동 김밥 판매업체인 올곧 지분 일부를 인수하고, 벤처투자사 KIB 벤처스, 부동산투자회사 스타에스엠리츠 지분도 사들였다.

 

 

 

 

젠슨 황 효과, 제주맥주 반등의 기회 될까?

젠슨 황 CEO의 '치맥 회동'으로 제주맥주가 주목받으며 주가가 급등했지만,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다. 제주맥주는 신사업 투자와 함께 수익성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젠슨 황 효과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자주 묻는 질문

Q.제주맥주는 어떤 회사인가요?

A.제주맥주는 수제맥주 제조사로, 20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하지만 상장 이후 영업손실을 겪으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Q.젠슨 황 효과가 제주맥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요?

A.젠슨 황 CEO와 총수들의 '치맥 회동'에서 제주맥주 생맥주가 언급되며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하지만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Q.제주맥주는 수익성 회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요?

A.제주맥주는 수제맥주 생산 외에도 신사업 투자 등을 통해 수익성 회복을 노리고 있습니다. 냉동 김밥 판매업체 지분 인수, 벤처투자 및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