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대 대법원장 회동 의혹, 진실 공방으로 번지다
더불어민주당이 제기한 조희대 대법원장의 이른바 ‘회동 의혹’이 진실 공방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회동 당사자로 지목된 조 대법원장, 한덕수 전 국무총리, 정상명 전 검찰총장, 김충식(최은순씨의 집사로 알려진 인물)이 모두 회동 사실을 부인하면서다.
서영교 의원의 엇갈린 제보 출처, 혼란을 더하다
녹취록을 국회에서 최초로 재생하며 의혹 제기를 주도한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제보의 출처에 대해 “보수 정권 민정”(17일 MBC)이라고 방송에서 언급했지만, 논란이 커진 뒤에는 “최초 보도한 유튜브에 물어보라”(19일 오전 국회)고 했다. 페이스북(19일 오후)에서는 “여권 고위직 관계자”라고도 했다.
두 개의 제보, 다른 내용과 출처
서 의원이 확보했다고 하는 제보는 두 가지다. ①제보 : 계엄 전 조 대법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이재명 사건을 처리하겠다’고 언급했다는 내용 ②제보 : 대선 직전 조 대법원장이 ‘4인 회동’에서 ‘이재명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알아서 처리하겠다’고 언급했다는 내용의 녹취 파일
제보 출처의 모호함, 의혹을 키우다
①제보 출처는 서 의원 표현에 따르면 “과거(보수) 정권의 민정에 있었던 사람” 또는 “당시(보수 정부) 여권의 고위직”이다. 문제는 언론이 ②제보 출처를 물을 때 이를 명확히 답하지 않고 ①제보 출처를 언급했다는 점이다.
'열린공감TV'의 녹취록, 숨겨진 출처
특히 ②제보의 출처가 ‘열린공감TV’로 드러나 논란이 예상된다. 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의원실에 녹취가 제보로 왔지만 먼저 공개하지는 않았다”며 “이후 열린공감TV에 녹취 파일이 나와서 그 녹취를 법사위에서도 틀게 됐다”고 말했다.
출처 은폐 의혹, 신뢰성 논란
열린공감TV를 그대로 인용한 것일 뿐이라고 언급해도 됐는데, 서 의원은 마치 별도의 제보를 받은 것처럼 설명한 것이다. 사실상 ‘한 몸’처럼 움직였지만 열린공감TV의 신뢰성이 공격을 받자, ‘회동 의혹’을 제기하기 위해 녹취 출처가 열린공감TV라는 점을 의도적으로 숨긴 것으로 의심되는 대목이다.
결론: 진실은 어디에?
서영교 의원의 엇갈린 발언과 모호한 제보 출처는 조희대 대법원장 회동 의혹에 대한 진실 공방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2개의 제보 내용이 혼재되고, 출처가 불분명해지면서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다.
자주 묻는 질문
Q.조희대 대법원장 회동 의혹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A.조희대 대법원장이 이재명 사건 관련,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는 의혹입니다. 하지만 당사자들은 모두 부인하고 있습니다.
Q.서영교 의원의 제보 출처는 무엇인가요?
A.처음에는 '보수 정권 민정'이라고 밝혔지만, 이후 '유튜브에 물어보라', '여권 고위직' 등으로 말을 바꿔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Q.녹취록 출처는 어디인가요?
A.'열린공감TV'로 밝혀졌지만, 서영교 의원은 이를 숨기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 스와프, 깎아줄래 빌려줄래? 3,500억 달러 딜레마와 한국의 선택 (1) | 2025.09.20 |
---|---|
정청래, 국민의힘-통일교 연루 의혹에 '정당 해산' 경고… 심각한 파장 예고 (0) | 2025.09.20 |
미·중 정상, 3개월 만에 전화 통화: 틱톡, 관세, 그리고 새로운 협상의 물결 (0) | 2025.09.19 |
150조 국민성장펀드, 연기금 동원 논란: '모른다'는 정부 부처, 불투명한 위험 분담 (0) | 2025.09.19 |
인천공항 눈물샘 폭발! '서울병' 신드롬, 중국 관광객 마음을 사로잡다 (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