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삼성전자, 테슬라를 넘어선다! 파운드리 수주 확대 및 M&A로 미래를 쏜다

joeunday 2025. 7. 31. 19:28
반응형

테슬라 수주 성공, 삼성 파운드리 경쟁력 입증

삼성전자가 테슬라에 이어 초대형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를 이어갈 것이란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삼성전자는 31일 올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최근 테슬라로부터 165억달러(약 22조7000억원) 규모의 첨단 제품 파운드리를 성공적으로 수주했다”며 “이는 선단 공정 경쟁력을 입증한 계기”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내 추가 수주 기대감, 테일러 팹 가동 본격화

이어 “이를 기점으로 앞으로 대형 수주가 기대된다. 미국 내 다양한 고객사들의 첨단 반도체 수주를 목표로 미 테일러 팹이 내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라며 “가동시점을 고려하면 내년 테일러 팹 투자가 올해보다 늘어날 예정으로, 안정적인 가동과 매출·손익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테슬라 CEO도 인정한 삼성의 기술력

삼성전자는 지난 28일 글로벌 대형 기업과 165억4416만달러(한화 약 22조7648억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당일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삼성의 새로운 대규모 텍사스 공장이 테슬라의 차세대 AI6 칩 생산을 전담하게 될 것”이라며 “165억달러 수치는 최소액으로,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높을 것 같다”고 글을 올렸습니다.

 

 

 

 

미래를 위한 투자, M&A와 신기술 발굴

삼성전자는 올해 초부터 이어진 M&A도 이어가겠다는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삼성전자는 “M&A를 통해 AI, 로봇, 데이터센터, 디지털 헬스 등 미래 산업 트렌드에 대응하고 있다”며 “상반기엔 M&A뿐 아니라 신기술 발굴·협업을 위해 AI, 로봇, 디지털 헬스 등 40여개 업체에 1조2000억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이는 반기 기준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HBM4, 엔비디아를 향한 질주

고대역폭메모리(HBM) 실적과 관련해서는 “2분기 HBM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30%가량 증가했다”며 “HBM 전체 수량 중 HBM3E(5세대 HBM)가 차지하는 비중은 80%대 후반까지 확대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하반기 HBM3E 판매 비중은 90%대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HBM4(6세대)는 1c나노 공정의 양산 전환 승인을 완료해 주요 고객사에 샘플을 출하했다. HBM4 수요 확대에 맞춰 캐파(설비투자) 확대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 하반기 반등 기대

삼성전자는 올 2분기 영업이익(연결 기준)이 4조68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0.1%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습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영업이익은 메모리 사업의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과 비메모리 사업의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발생으로 4000억원에 그쳤습니다. DS 부문 영업이익이 1조원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23년 4분기(2조1800억원 적자) 이후 6분기 만입니다.

 

 

 

 

삼성전자의 미래, 파운드리, M&A, HBM… 그리고 더 큰 그림

삼성전자는 테슬라 수주를 발판 삼아 파운드리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내 추가 수주를 기대하며, M&A와 HBM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분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반등을 기대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테슬라 수주는 삼성전자에게 어떤 의미인가요?

A.테슬라 수주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기술력을 입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추가 수주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Q.삼성전자의 M&A 전략은 무엇인가요?

A.삼성전자는 AI, 로봇, 데이터센터, 디지털 헬스 등 미래 성장 분야에서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M&A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Q.HBM4의 전망은 어떤가요?

A.HBM4는 1c나노 공정의 양산 전환 승인을 완료하고 주요 고객사에 샘플을 출하했습니다. HBM4 수요 확대에 맞춰 설비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며,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이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