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비행기에서 과체중 승객의 좌석 논란, 항공사 정책은?

굿데이굿맨 2025. 4. 24. 13:18
반응형

과체중 승객이 겪는 비행기 탑승의 어려움

최근 미국의 힙합 그룹 프리티 리키가 공식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 사진은 과체중 남성 승객이 비행기 좌석에 힘겹게 앉아 있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프리티 리키는 이 사진을 통해 '좌석 1개보다 더 큰 사람이 비행기를 타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준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그들 옆에 앉은 사람들도 힘들다'며 항공사들이 과체중 승객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비행기 탑승 시 과체중 승객이 겪는 고통은 단순히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주변 승객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댓글 반응과 사회적 논의

이 사진은 2400개가 넘는 댓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많은 누리꾼들이 '과체중 승객이 좌석 2개를 차지해야 한다면 그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게 맞다'고 의견을 밝혔습니다. 한 댓글에는 '간단히 말하자면 과체중 승객에겐 두 자리가 필요하니 두 자리에 대한 가격을 지불하면 된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옆 자리 승객의 불편함을 언급하는 댓글도 많았습니다. '비행 시간이 3시간이 넘어가면 너무 힘들다'는 의견이 대표적입니다.

 

 

 

 

여행 인플루언서의 개인적 경험

여행 인플루언서 제일린 채니는 과체중 승객이 겪는 고통을 자신의 SNS를 통해 알리고 있습니다. 그는 고도비만이라는 이유로 항공기 탑승을 거부당한 경험을 이야기하며, '나를 위해 설계되지 않은 좌석에 (몸을) 맞추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내 의무가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과체중 승객을 위한 사우스웨스트항공사의 정책을 소개하며, 이 정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공유했습니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의 혁신적인 정책

사우스웨스트항공은 좌석 팔걸이를 기준으로 옆 좌석을 침범하는 과체중 승객에게 추가 좌석을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을 30년 이상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좌석 2개를 예매한 후 비행이 끝난 뒤 좌석 1개에 대한 값을 환불받으면 됩니다. 만약 미리 좌석 2개를 예매하지 못했더라도 비행기 출발 전 직원에게 요청하면 다른 승객들의 좌석을 이동시켜 좌석 2개를 마련해 준다고 합니다.

 

 

 

 

다양한 의견 속에서의 논란

이러한 항공사의 정책이 도입되자,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여러 사람이 함께 사는 세상이니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환영하는 한편, '살쪘다고 배려해 주는 거면 마른 사람한테는 뭘 해주려나'라며 역차별적인 정책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과체중 승객을 위한 정책은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의 체중 측정 정책

최근 국내 항공사들도 승객의 몸무게 측정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는 과체중 승객에게 추가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토교통부의 '항공기 중량 및 평형 관리 기준'에 따라 평균 값을 내기 위해 실시되는 것입니다. 승객의 평균 체중을 알면 정확한 운항 중량 예측과 항공기 자세 균형 유지를 위한 연료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비행기 좌석 논란, 과체중 승객과 항공사 정책의 갈등

과체중 승객이 비행기 탑승 시 겪는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항공사의 정책이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다양한 의견이 오가는 가운데, 과체중 승객을 위한 공정한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점들

Q.과체중 승객은 어떻게 항공사 비용을 지불하나요?

A.과체중 승객은 좌석 2개를 차지할 경우, 해당 좌석에 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Q.사우스웨스트항공의 정책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A.사우스웨스트항공은 좌석 팔걸이를 기준으로 좌석을 침범하는 과체중 승객에게 추가 좌석을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Q.국내 항공사도 승객의 체중을 측정하나요?

A.네, 국내 항공사들은 승객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 운항을 위한 평균값 산출을 위해 실시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