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의 기쁨 뒤 가려진 그림자: 미지정 회계사 600명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 꿈에 그리던 목표를 달성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금융당국의 정책으로 인해 실무 수습처를 찾지 못해 '미지정 회계사'로 남겨진 이들이 600명에 달합니다. 이는 전체 합격 예정 인원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치로, 회계사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합격 후에도 취업의 문턱을 넘지 못하는 현실은, 그들의 노력과 열정을 무색하게 만듭니다.
폭발 직전: 회계사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공인회계사 선발 인원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금융당국의 무리한 회계사 선발 확대 정책에 반발하며, 14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번 시위에는 미지정 수습 회계사뿐 아니라 현직 회계사들도 대거 참여하여, 자신들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들은 실무 수습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선발 인원을 조정할 것을 촉구하며, 금융당국의 책임 있는 결단을 요구했습니다.
엇갈린 기대와 현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나?
금융당국은 시장의 수용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공인회계사 선발 규모를 1200명으로 확대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비대위는 “6%만의 사기업이 수습 회계사들을 원한다는 상황”이라고 밝히며, 회계법인들이 1000명 이상의 선발 인원에 대해 전원을 수용하고 양질의 실무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경력직 회계사들의 사기업 이직을 기대하며 무리하게 선발 인원을 늘린 정책은, 결국 '취업 절벽'이라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자본시장의 위협: 감사 품질 저하의 그림자
실무 경험을 쌓지 못한 회계사들이 늘어나면서, 자본시장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회계사들은 기업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공적 역할을 수행하지만, 실무 수습을 받지 못하면 핵심 업무인 외부감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습니다. 비대위는 감사 품질 저하는 결국 자본시장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부실 감사나 회계 부정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회계사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 경제 전체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멈추지 않는 외침: 회계사들의 미래는?
이번 집회를 시작으로 비대위는 2026년도 공인회계사 시험 일정이 발표되는 11월에 다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추가 시위를 벌일 계획입니다. 회계사들은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더 나아가 자본시장의 건전성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이들의 외침이 닿아, 금융당국의 합리적인 정책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핵심만 콕!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 후에도 취업난에 직면한 현실, 금융당국의 정책 실패, 자본시장 신뢰 붕괴 우려, 회계사들의 지속적인 시위 예고.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미지정 회계사란 무엇인가요?
A.공인회계사 시험에 합격했지만, 실무 수습기관을 찾지 못해 회계사 자격을 얻지 못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Q.왜 이렇게 많은 미지정 회계사가 발생했나요?
A.금융당국의 과도한 선발 인원 확대 정책과, 실무 수습 기관의 부족 때문입니다.
Q.이번 사태가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감사 품질 저하로 인한 자본시장 신뢰 하락, 부실 감사 및 회계 부정 발생 가능성 증가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의 '입'이 부른 나비효과: 엔터테인먼트 주식, 날아오르다! (0) | 2025.10.13 |
---|---|
김건희 특검, 양평공무원 사망에 깊은 조의… 수사 방향 재검토 (0) | 2025.10.13 |
송파구, 핵·화생방 공격 대비 '649평 벙커' 건설… 시민 안전 최우선 (0) | 2025.10.13 |
김은숙 작가 신작 '다 이루어질지니', 흥행과 논란 사이에서 펼쳐지는 이야기 (0) | 2025.10.13 |
캄보디아 지옥, 400명 탈출…'고수익'에 속아 캄보디아 간 당신에게 (0) | 202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