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박필근 할머니의 삶과 위안부 문제, 그리고 김은주 의원의 노력

굿데이굿맨 2025. 4. 23. 15:07
반응형

위안부 생존자 박필근 할머니의 이야기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박필근 할머니의 이야기는 단순한 고통의 연대기를 넘어, 인간의 존엄성과 회복의 가능성을 담고 있습니다. 박 할머니는 현재 97세로, 대한민국에서 남아있는 위안부 피해 생존자 중 한 분입니다. 할머니의 고백은 그동안 감춰졌던 아픔과 싸워온 삶의 여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피해 사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김은주 포항시의원과 함께 구술 생애사 작업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자료집이 발간되었습니다. 이 자료집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할머니의 힘과 용기를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합니다.

 

 

 

 

김은주 의원의 헌신적인 노력

김은주 의원은 박필근 할머니의 구술 생애사 작업을 위해 2019년부터 자택을 여러 차례 방문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위안소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조차 힘든 할머니를 만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김 의원은 할머니와의 신뢰를 쌓으며, 결국 그녀의 아픈 기억과 삶의 이야기를 담은 자료집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김 의원은 '할머니가 친할머니와 같았다'고 회상하며, 그동안의 만남이 얼마나 소중했는지를 강조했습니다.

 

 

 

 

구술 생애사 작업의 의미

구술 생애사 작업은 단순히 과거의 아픔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서, 할머니의 이야기를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김 의원은 이 작업이 '연구와 논의가 지속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기록이 이루어짐으로써, 잊혀질 수 있는 아픔이 역사 속에 영속적으로 남게 됩니다.

 

 

 

 

할머니의 일상과 상처

박필근 할머니는 생존의 고통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구술 생애사 작업 중 김 의원은 박 할머니가 여전히 다리 통증과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아픔은 단순히 신체적인 것이 아니라, 과거의 상처가 여전히 현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김 의원은 이러한 할머니의 고통을 함께 나누며, 작은 위로라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최근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혐오 세력이 증가하는 가운데, 김 의원은 이러한 상황을 매우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그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왜곡된 주장이 늘어남에 따라, 남아 있는 피해자와 그 가족이 느낄 상실감이 크다고 우려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위안부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박필근 할머니와 김은주 의원의 이야기는 단순한 개인의 고백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역사이자,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물어보셨습니다

Q.김은주 의원은 박필근 할머니를 왜 그렇게 자주 찾아갔나요?

A.김은주 의원은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고, 그녀의 삶을 기록하기 위해 자주 방문했습니다. 할머니와의 신뢰를 쌓기 위해서였습니다.

 

Q.할머니의 구술 생애사 작업은 어떤 과정을 거쳤나요?

A.구술 생애사 작업은 초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으나, 점차 할머니가 마음을 열어주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이야기가 담기게 되었습니다.

 

Q.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떤가요?

A.최근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혐오 세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김 의원은 강조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