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잡 허깅'에 갇히다: 불안한 고용 시장, 흔들리는 직장인의 심리
변화의 바람: '잡 허깅' 현상의 부상
글로벌 MZ세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만족스럽지 않은 직장이라도 떠나지 못하는, 이른바 ‘잡 허깅(Job Huging)’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더 나은 기회를 찾아 과감히 이직하던 잡 호핑(Job Hopping) 트렌드와는 반대 흐름이 나타나는 것이다.
불안한 현실: 고용 시장의 냉각
채용이 정체되고 취업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잠재적으로 이직 의향이 있어도 굳건하게 현 직장을 지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데이터로 보는 잡 허깅: 자발적 퇴사율의 급락
미 노동통계국(BLS)의 자발적 퇴사율 통계도 이를 뒷받침한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2.3%였던 수치는 팬데믹 초기 2020년 1.6%로 하락했다가, 2021~2022년에는 3.0%로 치솟았다. 그러나 이달 초 기준 다시 2.0%로 급락했다.
불안감의 근원: 구직 시장의 위축
실제로 미국 고용 지표는 악화하고 있다. BLS에 따르면, 지난 7월 비농업 고용 증가는 7만 3,000개에 그쳐 예상치(11만 개)를 크게 밑돌았다. 8월에도 2만 2,000개 증가로 전망치(7만 5,000개)와 큰 차이를 보였다.
경고의 메시지: 심각한 고용 부진
무디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는 “구인 감소는 고용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는 신호”라며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구직자 수가 채용 공석을 넘어섰다는 점은 심각한 경고”라고 분석했다.
심리적 불안: MZ세대의 고통
미시간대 8월 소비자 심리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2개월 내 실업률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하는 소비자 비율이 약 60%에 달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수치는 "대공황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변화의 흐름: 안정성을 추구하는 MZ세대
채용 플랫폼 스마트리크루터스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사장 리치 루이스-존스는 호주 매체 news.com.au에 “채용 흐름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특히 Z세대와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은 새로운 기회보다 안정성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결론: '잡 허깅' 시대의 그림자
그는 잡 허깅을 “직장인들이 생명을 걸고 버티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하며, “새로운 기회를 쫓는 사람이 줄어들면 임금 성장이 둔화하고 혁신이 정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핵심 정리: '잡 허깅' 현상, 고용 불안과 MZ세대의 선택
MZ세대 사이에서 '잡 허깅' 현상이 확산되며, 불안정한 고용 시장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그 배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발적 퇴사율 감소, 구직 시장 위축, 심리적 불안감 증가로 이어지며, 젊은 세대가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고용 시장의 침체는 임금 성장 둔화와 혁신 정체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잡 허깅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A.가장 큰 원인은 경제적 불확실성 증가와 고용 시장의 불안정성입니다. 채용 감소, 취업 전망 악화 등으로 인해 MZ세대가 이직 대신 현재 직장에 머무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Q.잡 허깅 현상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잡 허깅은 임금 상승 둔화, 혁신 정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회를 찾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경쟁이 약화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에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Q.MZ세대가 잡 허깅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MZ세대는 고용 시장의 불안정성 속에서 안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 상승과 임금 삭감, AI 및 로봇의 일자리 대체 가능성 등도 영향을 미쳐 현재 직장을 유지하는 쪽을 선택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