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출연료 4억, '미친' 한국 드라마 제작비… OTT, '가성비' 일본으로 눈 돌리다
치솟는 한국 드라마 제작비, OTT 업계의 고민
최근 한국 드라마 제작비가 급등하면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들이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주연 배우 회당 출연료가 3억~5억원에 달하는 등, 제작비 부담이 커지면서 OTT들은 '가성비'를 중시하며 일본 시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징어 게임'과 같은 한국 드라마의 성공 이후, 높아진 배우 몸값과 제작 환경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 '아리스 인 보더랜드3'로 일본 시장 공략
넷플릭스는 일본 시리즈 '아리스 인 보더랜드' 시즌3 공식 예고편을 공개하며 일본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앞서 공개된 시리즈가 큰 인기를 끌었던 만큼, 이번 시즌3에 대한 기대감도 높습니다. '아리스 인 보더랜드'는 '오징어 게임'과 유사한 데스게임 장르로, 극한의 생존 게임, 도덕적 딜레마, 끊임없는 긴장감을 통해 시청자들의 몰입도를 높입니다. 넷플릭스는 이처럼 일본 시장을 겨냥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한국 드라마 제작비 상승에 따른 부담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티빙, 일본판 '내 남편과 결혼해줘' 방영
티빙 역시 일본 아마존 프라임에서 1위를 기록 중인 일본 드라마 '내 남편과 결혼해줘'를 방영하며 일본 콘텐츠 시장에 발을 들였습니다. 특히, 이 드라마는 단순한 리메이크를 넘어, 제작부터 캐스팅, 로컬라이징까지 K드라마 방식의 설계를 반영하여 한국 시청자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원작이 한국 웹소설이며, 제작진도 한국인으로 구성되어, 배우만 일본인인 점이 특징입니다. 이는 한국 드라마의 성공 노하우를 일본 시장에 적용하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일본 콘텐츠, OTT에게 매력적인 이유
OTT들이 일본 콘텐츠에 주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정서가 한국과 비슷하고, 통하는 부분이 많아 OTT들에게 가성비가 뛰어난 일본이 매력적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 또한 큰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한국 드라마의 회당 제작비가 20억원을 넘어선 반면, 일본은 10억원 정도면 충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경우, 주인공의 회당 출연료가 한국에 비해 현저히 낮아, 제작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국 드라마 제작 편수 감소, 위기감 고조
높아지는 제작비는 한국 드라마 제작 편수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2년 141편이었던 드라마 제작 편수는 2023년 123편으로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100여 편, 올해는 80여 편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 드라마 업계에 위기감을 더하고 있으며, OTT들은 제작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본을 비롯한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OTT 시장에서 일본 콘텐츠의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OTT, '가성비' 일본으로… 한국 드라마 위기?
높아지는 한국 드라마 제작비로 인해, OTT들이 일본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아리스 인 보더랜드3'와 티빙의 '내 남편과 결혼해줘'와 같은 일본 콘텐츠 투자는 이러한 흐름을 보여줍니다. 일본 콘텐츠는 한국과 비슷한 정서와 저렴한 제작비로 인해 OTT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한국 드라마 제작 편수 감소와 맞물려, OTT 시장의 지각 변동이 예상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왜 OTT들은 일본 드라마에 주목하나요?
A.한국 드라마 제작비 상승과 일본 콘텐츠의 가성비가 주요 이유입니다. 일본은 한국과 정서가 비슷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로 고품질 콘텐츠 제작이 가능합니다.
Q.한국 드라마 제작 편수가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주연 배우 출연료 상승, 제작비 증가로 인해 제작 편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Q.일본 드라마가 한국 드라마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OTT들의 일본 콘텐츠 투자가 늘어나면서 한국 드라마 시장의 경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드라마 제작 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