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평양을 뒤덮은 변화의 바람: 미국 영화 제작자의 눈으로 본 북한의 현재

joeunday 2025. 10. 31. 22:14
반응형

북한을 방문한 미국 영화 제작자, 평양의 변화를 증언하다

최근 평양국제영화제 참석을 위해 북한을 방문한 미국 영화 제작자 저스틴 마텔은 CNN과의 인터뷰를 통해 평양의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습니다그는 북한 주민들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이나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무심한'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마텔은 8일간의 평양 방문을 마치고 돌아와, 북한의 현재 모습과 주민들의 생각을 생생하게 전달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는 평양의 급격한 변화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트럼프에 대한 무관심: 북한 주민들의 냉담한 반응

마텔은 평양에서 만난 사람들 대부분이 트럼프 대통령이 아시아에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거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북한 주민들의 반응이 적대적이지도, 지나치게 희망적이지도 않은 '무심함'이었다고 묘사했습니다. 마텔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따뜻한 기억은 있지만 정치는 감정과 다르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최근 발언을 그들이 반복해서 언급했다고 전했습니다.

 

 

 

 

평양, '평해튼'으로 변모하다: 현대 도시로의 발전

마텔은 평양이 '덜 발전된' 느낌에서 '현대적인 도시'로 변모했다고 묘사하며, 고층 빌딩,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택시 앱, 소셜미디어 사용 등 도시의 발전을 구체적으로 언급했습니다그는 교통 체증이 심해진 것을 예로 들며, 북한 가이드들과 '평해튼'(Pyonghattan)이라는 농담을 주고받았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화성지구의 세련된 레스토랑에서 아시아와 서양 메뉴를 즐기는 현지인들의 모습을 통해 평양의 변화를 실감했다고 합니다.

 

 

 

 

북한의 새로운 모습: 우크라이나 전쟁과 영화

마텔은 김일성 광장 근처 박물관에서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기념하는 새로운 벽화를 보았는데, 그 벽화에는 러시아를 위해 싸우는 북한군의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었습니다그는 이를 '우크라이나군과 싸워 승리하는 군인들을 묘사한 북한 스타일 대형 벽화'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영화제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 암살 음모를 다룬 영화를 관람했는데, 현대적인 제작 방식과 폭력, 짧은 노출 장면이 등장하는 등 북한 영화의 변화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국제친선전람관: 여전한 트럼프의 흔적

마텔은 김 위원장이 국제사회에서 받은 선물을 전시하는 국제친선전람관을 방문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데니스 로드먼의 사진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이 여전히 눈에 띄게 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CNN은 마텔 일행이 몇 년 만에 이곳을 찾은 첫 서방 대표단이라고 전하며, 북한의 대외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단면을 보여주었습니다.

 

 

 

 

평양, 변화의 물결 속에서: 영화 제작자의 시선

미국 영화 제작자 저스틴 마텔의 시선을 통해 평양의 변화된 모습과 북한 주민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트럼프에 대한 무심함, 도시의 현대화, 새로운 벽화와 영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북한의 현재를 조명하며,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북한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평양 방문에 대한 궁금증

Q.북한 주민들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A.마텔은 북한 주민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무심한'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 없이, '정치는 감정과 다르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을 되풀이하는 정도였습니다.

 

Q.평양의 어떤 점이 가장 인상적이었나요?

A.마텔은 평양의 급격한 도시 발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고층 빌딩, QR 코드 결제, 택시 앱 사용 등 현대적인 도시의 모습을 갖춘 변화를 실감했다고 밝혔습니다.

 

Q.국제친선전람관에는 어떤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었나요?

A.국제친선전람관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데니스 로드먼의 사진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