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왕 김하성은 왜 '유리몸'으로 전락했을까? 부상, 체격 변화, 흡연까지... 김하성의 몰락 분석
한때 '철강왕' 김하성, '유리몸'으로 추락하다
한때 '철강왕'으로 불리던 김하성이 이제는 타석에서도 존재감을 잃고, 잦은 부상으로 '유리몸' 꼬리표까지 달게 됐다. 결국 탬파베이 레이스가 그를 방출하면서, 김하성이 왜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부진의 늪: 탬파베이 시절의 성적과 부상
탬파베이는 지난 2일(한국시간) 김하성을 웨이버 공시했고, 애틀랜타 브레이브스가 곧장 그를 클레임했다. 김하성의 탬파베이 성적은 24경기 타율 0.214(84타수 18안타) 2홈런 5타점 6도루 OPS 0.612로 부진하다. 이 과정에서 햄스트링, 종아리, 허리 등 끊임없는 부상에 시달렸다. 결국 성적, 가용성 모두 기대치에 못 미쳤다.
허슬 플레이의 그림자: 누적된 부담
우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시절 몸을 아끼지 않던 '허슬 플레이'가 누적되면서 내구성이 흔들렸을 가능성이 크다. 김하성은 2021~2024년 샌디에이고 소속으로 '허슬'의 상징이었다. 특히 2023년 8월 워싱턴전에서 관중석 앞 파울 라인까지 전력 질주해 몸을 던져 공을 낚아챈 장면은 지금도 아찔한 호수비로 회자된다.
내구성에 균열을 낸 어깨 수술과 잔부상
투혼을 인정받아 구단 대표로 '하트 & 허슬 어워드' 후보에도 올랐다. 이 상은 야구에 대한 열정과 팀 가치, 정신, 전통을 가장 잘 구현한 현역 선수에게 주어지는데, 김하성은 주루와 수비에서 몸을 사리지 않는 플레이로 높은 평가를 받으며 구단 대표로 선정됐다. 김하성의 플레이는 팀을 살렸지만, 장기적으로는 몸에 누적된 부담으로 돌아왔다. 결국 지난해 가을 오른쪽 어깨 수술과 올 시즌 내내 이어진 잔부상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내구성의 균열'의 첫 단추였다.
체격 변화와 부상의 악순환
조금씩 흔들리던 내구성은 올 시즌 결정적으로 무너졌다. 2025년 7월 5일 미네소타전, 시즌 데뷔전이자 첫 선발 출전 날에 3루 도루를 시도하다 오른쪽 종아리 경련으로 교체됐다. 사흘 휴식 뒤 7월 9일부터 다시 출전했지만, 7월 22일 허리 통증을 호소했고 끝내 부상자 명단(IL)에 올랐다. 지난달 2일 메이저리그로 복귀했으나 허리 염증이 재발해 8월 22일 또다시 IL에 이름을 올렸다. 7월 탬파베이 유니폼을 다시 입은 김하성은 한층 단단해진 체구로 돌아왔다. 벌크업의 즉각적인 효과도 있었다. 복귀 후 첫 4경기 연속으로 강한 타구(하드히트)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반짝임은 거기까지였다. 이어진 경기들에서 타구 질과 컨디션이 곤두박질치며 상승세를 이어 가지 못했다.
흡연 습관 논란: 회복력 저하?
여기에 흡연 습관 논란도 따라붙는다. 2021시즌 샌디에이고 동료였던 에릭 호스머는 팟캐스트 'Diggin' Deep'에서 "김하성이 자주 담배를 피웠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2년 차 스프링캠프에서 김하성이 '이제 끊었다'고 했지만, 정규시즌 두 번째 경기쯤 다시 피우는 모습을 봤다. 이유를 묻자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담배로 스트레스를 푼다'는 습관이 사실이라면 경기 체력과 회복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김하성의 몰락, 무엇이 문제였나?
결국 김하성의 방출은 실력 부족이 아니라, 무너진 내구성과 관리 실패가 겹친 결과로 볼 수 있다. 애틀랜타에서 다시 기회를 얻은 만큼, 무엇보다 건강을 회복하고 플레이 스타일과 컨디셔닝을 재정비해야 한다. 팀이 원하는 건 '무리한 투혼'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기여'다. 과연 김하성이 '유리몸' 낙인을 지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자주 묻는 질문
Q.김하성이 '유리몸'으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잦은 부상과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유리몸'이라는 꼬리표가 붙었습니다. 샌디에이고 시절의 허슬 플레이로 인한 누적된 부담, 체격 변화에 따른 관절 부담 증가, 흡연 습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Q.김하성의 부진은 실력 부족 때문인가요?
A.실력 부족보다는 무너진 내구성과 관리 실패가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잦은 부상으로 인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고, 이는 성적 부진으로 이어졌습니다.
Q.김하성이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가요?
A.건강 회복, 플레이 스타일과 컨디셔닝 재정비가 중요합니다. 부상 없는 꾸준한 활약을 위해 몸 관리에 힘쓰고, 팀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