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아파트 전셋값 급등, '이중 가격' 현실화… 당신의 전세 계약은 안전한가요?
전셋값 이중 가격, 현실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같은 단지, 같은 면적임에도 신규와 갱신 가격에 큰 차이가 나는 전셋값 이중가격 현상이 심화하고 있습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8일) 기준 서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6%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2월까지 82주 연속 상승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잠시 보합을 거친 뒤 지난 2월부터 재차 26주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송파구, 전셋값 상승 주도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자치구는 송파구입니다. 이번 주 송파구 전셋값은 잠실·문정동 역세권 위주로 0.28% 뛰었습니다. 올해 누적으로는 3.68% 올라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전셋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이중가격 현상도 심화하고 있습니다.
같은 아파트, 다른 가격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면적 84㎡는 지난 26일 15억원(13층)에 세입자를 들였습니다. 앞서 24일 11억5000만원(13층)에 전세 계약을 맺었는데 이틀 만에 같은 단지, 같은 면적 전셋값이 4억원 오른 것입니다.
계약갱신청구권과 신규 계약의 차이
이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기존 계약을 갱신한 거래와 신규로 체결한 전세 계약의 차이다. 2년 전 11억원에 체결한 전세 계약은 이번에 갱신하며 보증금을 5000만원 증액하는 데 그쳤지만, 새로 맺은 계약은 그간 오른 시세에 맞춰 15억원으로 이뤄진 셈입니다.
심화되는 가격 격차
잠실동 개업중개사는 "단지가 크다 보니 역에 가까운 앞쪽 동과 그렇지 않은 뒤쪽 동 사이에 전셋값 차이가 벌어지긴 하지만, 두 물건은 모두 역과 거리가 비슷한 앞쪽 동"이라며 "지난달만 하더라도 비슷한 동의 신규·갱신 전셋값 차이는 2억원 내외였는데, 최근들어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근 '트리지움' 전용 84㎡ 또한 신규는 12억5000만원(18층), 갱신은 2억원 낮은 10억5000만원(10층)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습니다.
전세 매물 부족이 원인
이러한 현상은 전세 매물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전세 매물은 1166건으로, 1년 전 3069건에 비해 62.1% 급감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전셋값 상승세와 이중가격 현상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망과 다른 자치구 상황
잠실동의 다른 개업중개사는 "전셋값이 오르니 기존 세입자들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적극 사용하고 있다"며 "결국 매물이 잠겨서 전셋값은 더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다른 자치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광진구가 자양·광장동 위주로 전셋값이 0.12% 뛰었고 영등포구와 강동구도 각각 신길·여의도동 선호단지와 고덕·명일동 대단지 위주로 0.11%씩 올랐습니다. 용산구도 한남·문배동 역세권 위주로 0.09% 상승했습니다.
결론: 전셋값 상승, 꼼꼼한 정보 확인은 필수
서울 전셋값 상승과 이중 가격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갱신 계약과 신규 계약 사이의 가격 차이가 커지고 있으며, 매물 부족 현상까지 겹쳐 전셋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전세 계약을 앞두고 있다면, 주변 시세와 계약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전세 계약 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A.가장 중요한 것은 주변 시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동일 단지, 동일 면적의 전세 시세를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여부에 따른 가격 차이도 비교해야 합니다. 또한, 등기부등본을 통해 해당 주택의 권리 관계를 확인하고, 계약 전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전셋값 상승,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A.단정하기는 어렵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당분간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금리 인상 가능성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나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Q.전세 계약 갱신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A.계약 갱신 시에는 기존 계약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갱신 시 인상되는 보증금의 적정성을 따져봐야 합니다. 또한, 임대차 관련 법규의 변경 사항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불이익을 방지해야 합니다. 갱신 계약서 작성 시에는 특약 사항을 꼼꼼히 기재하여 분쟁의 소지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