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상장 1년 만에 '눈물바다' 된 시프트업, 주가 반등 가능성은?

joeunday 2025. 7. 11. 19:08
반응형

시프트업, 주식 시장의 '쓴맛'을 보다

상장 1주년을 맞은 시프트업의 주가가 공모가를 크게 밑돌면서 투자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신작 모멘텀 부재와 기존작 '니케'의 중국 시장 부진이 겹치며 주가 하락을 부추겼습니다. 특히, 큰손 투자자인 연기금마저 시프트업 주식을 매도하면서 투자 심리가 더욱 위축된 상황입니다. 11일 오후 1시 50분 현재 시프트업은 전일 대비 0.66% 하락한 4만495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공모가 6만원 대비 24.67%나 하락한 수치입니다. 상장 첫날 8만원을 웃돌았던 주가가 4만원대로 곤두박질치면서, 투자자들의 손실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을 통해 시프트업에 투자한 2만1586명의 평균 손실률은 23.43%에 달하며, 손실 투자자 비율은 100%에 육박합니다.

 

 

 

 

연기금의 매도세, 주가 하락에 '쐐기 박다'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연기금의 매도세입니다. 최근 한 달(6월 10일~7월 10일) 사이 연기금은 시프트업 주식 324억원어치를 순매도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의 지분 변화에 따른 결과로, 국민연금은 시프트업 주식 60만3367주를 처분하여 지분율을 7.17%에서 6.08%로 낮췄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352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손실을 감수하고 물량을 받아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수급 불균형은 주가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뚜렷한 모멘텀 부재, 신작 효과 '미미'

주가 상승을 이끌 만한 뚜렷한 모멘텀 부재 또한 문제입니다. 현재 시프트업의 대표작은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입니다. '스텔라 블레이드'는 PC 버전 출시 후 사흘 만에 100만 장 판매를 기록하며 순항했지만, 신작 모멘텀을 대체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입니다. 시프트업의 신작 '프로젝트 위치스'는 2027년 이후 출시될 예정이며, 그 전까지는 기존작의 실적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매출 비중이 높은 '니케'의 실적이 하향 안정화 추세에 있다는 점이 우려를 더하고 있습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니케의 중국 시장 부진을 언급하며, 연간 매출 감소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주주가치 제고 노력, 아직은 '미미한 효과'

시프트업은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에 나섰지만, 아직 뚜렷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5월, NH투자증권과 90만4159주 규모의 자기주식취득 신탁 계약을 체결했지만, 주가는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까지 이어져야 실질적인 주주가치 제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소각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김형태 대표의 보호예수 기간 만료 또한 주가에 불안감을 더하는 요인입니다. 회사 측은 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다고 밝혔지만,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향후 전망: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주목'

시프트업은 하반기 중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마련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주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 주주 가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지속 가능한 환원 방안을 통해 자본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뚜렷한 반등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에서, 구체적인 주주환원 정책의 내용이 주가 회복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회사의 향후 행보에 주목하며 신중한 판단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시프트업, 주가 반등을 위한 과제

시프트업은 상장 1주년을 맞아 주가 하락이라는 쓴맛을 경험했습니다. 연기금의 매도세, 신작 모멘텀 부재, 기존작의 부진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며 주가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발표를 통해 투자 심리를 개선하고, 긍정적인 반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시프트업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신작 모멘텀 부재, 기존작 '니케'의 중국 시장 부진, 연기금의 매도세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Q.시프트업의 향후 주가 전망은?

A.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의 내용, 신작 출시 일정, 기존작의 실적 개선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모멘텀 확보가 중요합니다.

 

Q.투자자들이 시프트업에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A.회사의 재무 상황, 신작 출시 계획, 주주환원 정책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투자 전에 충분한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