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남자, 이제 안녕! '무해남'이 뜬다: 당신의 마음을 사로잡을 새로운 남성상
변화의 바람: '퍼포머티브 메일'의 등장
미국과 유럽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 '퍼포머티브 메일(Performative Male)'이라는 새로운 남성상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안전한 남성성'을 내세우며, 기존의 '상남자' 이미지와는 다른 매력을 선보입니다. 이는 단순히 외모뿐 아니라, 행동과 가치관에서도 드러나며, 특히 진보적인 여성들의 취향을 고려한 섬세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개인의 취향을 중시하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합니다.
퍼포머티브 메일: 그들은 누구인가?
퍼포머티브 메일은 헐렁한 반바지, 잘 맞는 티셔츠, 오버사이즈 셔츠, 미니멀한 에코백, 그리고 라부부(Labubu) 인형과 같은 독특한 액세서리로 자신을 표현합니다. 그들은 또한 페미니즘 관련 책을 읽고, 말차 라떼를 즐기며, 필름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등 아날로그 감성에 푹 빠져 있습니다. 음악 취향 또한 클레어(Clairo)나 로페이(Laufey)와 같은 감성적인 보컬곡을 선호하며, 시각적으로는 해리 스타일스와 같은 스타일을 지향합니다. 이들의 스타일은 2030 여성의 '이상형 체크리스트'를 채우도록 설계된 듯하며, '유해하지 않고, 여성의 가치관에 공감할 수 있는 남자'임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일종의 '시그널'로 작용합니다.
퍼포머티브 메일의 유행: 긍정적 시선과 비판
퍼포머티브 메일의 등장은 긍정적인 시선과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습니다. 틱톡과 인스타그램에서는 이들 간의 '부드러운 음악 취향' 경쟁이나 희귀한 토트백 자랑과 같은 영상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각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겉모습만 진보적인 척하는 가식'이라고 비판하며 밈(meme)화되기도 했습니다. 각종 SNS 플랫폼에서는 길거리에서 퍼포머티브 남자를 포착하는 '몰래 찍기' 영상이나 패러디 콘텐츠가 활발하게 제작되며, 이 현상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공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국내의 '에겐남'과 유사한 흐름
국내에서도 퍼포머티브 메일과 유사한 흐름이 감지됩니다. 바로 '에겐남'의 등장입니다. 에스트로겐과 남성의 합성어인 '에겐남'은 공격적이지 않고 세심하며,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통해 호감을 얻습니다. 이들은 '안전하고 편안한 성향'을 전면에 내세우며, 퍼포머티브 메일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남성상과는 다른 매력을 어필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개인의 개성과 취향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문가의 분석: 시대의 변화
청담하버드심리센터 최명기 원장은 최근의 흐름을 '사회적 시선보다 개인의 취향이 더 중요한 시대의 결과'로 해석합니다. 과거에는 남성들이 '남자답지 못하다'는 평가를 두려워했고, 여성들 역시 그런 남성에게 매력을 느끼지 못하도록 학습된 측면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소수자들이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처럼, '남성/여성스러움'의 구분이 힘을 잃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남성상을 만들어내는 배경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하고 개성 넘치는 남성상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로운 남성상의 부상: 무해함과 개인의 취향
결론적으로, '상남자'의 시대는 저물고 '무해남'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습니다. '퍼포머티브 메일'과 '에겐남'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흐름은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가치관을 중시하는 시대적 변화를 반영합니다. 이는 긍정적인 측면과 비판적인 시선을 동시에 받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남성상이 등장할 것을 예고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퍼포머티브 메일은 무엇인가요?
A.퍼포머티브 메일은 '안전한 남성성'을 추구하며, 진보적인 여성의 취향에 맞춘 외모, 행동, 가치관을 보여주는 새로운 남성상입니다.
Q.에겐남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에겐남은 에스트로겐과 남성의 합성어로, 공격적이지 않고 세심하며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는 남성상을 의미합니다.
Q.이러한 변화의 배경은 무엇인가요?
A.사회적 시선보다 개인의 취향을 중시하는 시대적 흐름과, '남성/여성스러움'의 구분이 힘을 잃고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주요 배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