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에도 '영끌'은 계속된다: 주담대 수요, 왜 여전히 뜨거운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주담대 잔액은 '쑥'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눈에 띄게 줄었지만, 대출 잔액은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6·27 부동산 대책과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몰렸던 수요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집행되고 있는데다 신청 건수도 줄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5대 시중은행, 주담대 잔액 증가… 신용대출은 감소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0일 기준 755조726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6월 말(754조8348억원)보다 8912억원 늘어난 수치입니다. 하루 평균 891억원씩 증가한 셈으로 지난달 일평균 증가액(2251억원)의 40% 수준에 그칩니다.
주담대, 대출 증가의 주된 원인
대출 항목별로는 주담대(전세자금 포함) 잔액이 같은 기간 1조3773억원 늘어 600조802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하루 평균 1377억원 증가한 것으로 6월 대비 증가 속도는 72% 수준입니다.
대출 규제와 시스템 개편의 영향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수도권 주담대 6억원 한도 등 가계대출 규제의 영향뿐 아니라 6·27 대책 발표에 맞춰 전산시스템을 개편하느라 일부 기간 대출이 중단된 것도 원인”이라며 “특히 주담대 실행이 보통 월말에 집중되는 만큼 흐름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주담대 승인 건수, 여전히 높은 수준 유지
다만 가계대출 집행의 선행지표인 대출 신청 승인 건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부 은행에선 오히려 승인 규모가 늘었습니다.
은행별 주담대 승인 현황
실제로 A은행의 경우 이달 10일까지 주담대 승인 건수는 3723건, 금액은 1조355억원으로 하루 평균 372건, 1035억원꼴입니다. 이는 6월 일평균(293건, 746억원)보다 각각 27%, 39% 많은 수준입니다.
가계대출 증가세, 8~9월까지 지속될 가능성
시중은행 관계자는 “6·27 대책 시행, 7월 스트레스 DSR 3단계 규제 적용을 앞두고 가계대출 신청이 대거 몰렸다”며 “이때 급증한 신청 건을 은행이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심사한 뒤 승인하면서 이달에도 대출 신청 승인 실적은 아직 크게 줄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승인된 대출 건은 1∼2개월 시차를 두고 대부분 실제로 실행된다고 봐야 한다”며 “따라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8∼9월까지 크게 꺾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결론: 대출 규제에도 꺾이지 않는 주담대 수요
결론적으로,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주택담보대출 수요는 여전히 견고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6·27 부동산 대책과 스트레스 DSR 시행 전에 몰린 대출 신청이 순차적으로 집행되고, 대출 승인 건수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가 8~9월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가계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왜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여전히 높은가요?
A.6·27 부동산 대책과 스트레스 DSR 시행 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몰렸고, 이 신청 건들이 순차적으로 승인 및 실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Q.앞으로 가계대출 증가세는 어떻게 될까요?
A.전문가들은 8~9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Q.대출 규제의 영향은 없을까요?
A.물론 대출 규제는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승인된 대출 건들이 실행되면서 단기적으로는 그 효과가 상쇄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