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노의 시작점: 채 상병 사건, 윤 대통령의 분노와 그 배경
VIP 격노설의 진실을 향한 한 걸음
채 상병 특검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VIP 격노설'을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진술을 확보했습니다.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의 진술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이 화를 낸 시점과 상황이 구체적으로 드러났습니다.
2023년 7월 31일 안보실 회의, 그날의 기록
왕 전 비서관은 2023년 7월 31일 안보실 회의 상황을 상세히 진술했습니다. 약 6시간 동안 이어진 참고인 조사에서, 회의가 끝날 무렵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이 채 상병 사망 수사 결과를 보고했고,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격노의 시발점: 사단장 입건 대상 보고
윤 전 대통령의 격노는 임 전 비서관이 '사단장까지 입건 대상'이라고 발언한 시점에 시작되었습니다. 왕 전 비서관은 윤 전 대통령이 '이런 일로 사단장을 입건하는 게 말이 되냐'는 취지로 발언했다고 진술했습니다.
회의장의 변화: 특정 인물 제외 지시
임 전 비서관이 오후에 수사 결과 관련 기자회견이 예정되어 있다고 보고하자, 윤 전 대통령은 임 전 비서관 등을 제외하고 모두 회의실을 나가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사건의 심각성을 짐작하게 합니다.
엇갈리는 진술 속, 드러나는 진실
앞선 조사에서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과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은 윤 전 대통령이 화를 낸 것은 봤지만, 그 이유를 몰랐다고 진술했습니다. 그러나 왕 전 비서관의 진술은 격노의 시작점과 상황을 구체적으로 밝히며, 진실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했습니다.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의 증언: 격노의 시작점
특검팀은 채 상병 순직사건 초동조사 당시 수사 외압을 폭로했던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 박 단장은 윤 대통령의 격노가 사건의 시작점이라고 강조하며, 이제 설이 아닌 사실로 규명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수사 외압 의혹과 사건의 전개
특검팀은 박 단장을 상대로 채 상병 사건 수사 당시 상황과 사건기록 회수 과정 등을 조사했습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수사 외압 의혹의 실체가 드러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핵심 요약: 채 상병 사건과 윤 대통령의 격노
채 상병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시점과 상황을 구체적으로 진술한 왕윤종 전 비서관의 진술을 확보했습니다. 사단장 입건 대상 보고에 윤 대통령이 격노했으며, 박정훈 수사단장의 증언을 통해 사건의 진실 규명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윤석열 전 대통령이 화를 낸 이유는 무엇인가요?
A.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이 '사단장까지 입건 대상'이라고 보고한 시점에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습니다.
Q.왕윤종 전 비서관은 어떤 진술을 했나요?
A.2023년 7월 31일 안보실 회의 상황을 상세히 진술하며, 윤 대통령의 격노 시점과 상황을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
Q.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은 어떤 입장을 밝혔나요?
A.윤 대통령의 격노가 사건의 시작점이며, 이제 설이 아닌 사실로 규명되었다고 강조했습니다.